업비트 메타마스크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내에서 트래블룰 제도가 3월 25일 시행되었습니다.
국내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업비트에서 개인지갑을 등록해야되서 메타마스크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업비트 개인지갑 등록하는 방법
트래블룰이란 100만원 이상의 암호화폐를 이전할 때 송수신인 정보를 의무적으로 제공 및 보관하는 것을 말합니다.
거래소에서 암호화폐 이전 기록을 모두 수집하고 보관해야 된다고 합니다.
업비트를 비롯하여 빗썸, 코인원, 코빗 등 국내거래소에서 3월 25일 시행됐습니다.
그러나 4대 거래소에서 연동이 이뤄지지 않고 1개월 가량 지연됐습니다.
업비트에서 두나무의 자회사가 개발한 베리파이바스프를 트래블룰에 적용한 반면, 빗썸과 코인원, 코빗은 합작 개발한 코드를 적용했기 때문에 연동이 이뤄지지 않아 국내 이용자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습니다.
업비트 홈페이지 접속시 우측상단에 my를 클릭해보겠습니다.
마이페이지에서 개인지갑 주소 관리 항목과 즐겨찾기 주소 관리를 보실 수 있습니다.
개인지갑이 본인 소유 확인이 완료되면 입출금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우측에 빨간 체크 관리하기를 클릭해보겠습니다.
개인지갑 주소 관리 항목에서 앞서 말한바와 같이 본인인증이 완료된 개인지갑만 입출금이 가능합니다.
특히 업비트에서 개인지갑 주소 등록은 메타마스크만 지원됩니다.
개인적으로 아쉬운건 국내 이용자들이 많은 카이카스 혹은 클립은 왜 적용을 안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메타마스크를 쓰면 많이 보던 여우의 모습이 보이고, 업비트 메타마스크 등록을 진행해보겠습니다.
빨간 체크로 표시된 본인 소유의 지갑을 등록합니다에 체크하도록 하겠습니다.
타인의 지갑주소를 등록 후 발생하는 문제는 개인에게 있습니다.
입출금은 ETH 및 ERC20계열만 이용이 가능하다고 하며, 주소 등록을 누릅니다.
네트워크는 이더리움이고, 지갑주소에 본인 메타마스크 주소를 등록합니다.
주소 별명은 본인이 확인하기 쉬운 별명을 등록합니다.
다음으로 카카오페이 인증을 하셔야 개인지갑이 등록되니 카카오페이 인증하기를 클릭합니다.
카카오페이 인증 후 업비트에서 메타마스크로 서명 요청을 보내니 서명하시면 됩니다.
메타마스크에서 서명 완료를 마치게 되면 개인지갑 주소 관리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갑종류는 메타마스크이고, 네트워크는 역시 이더리움입니다.
주소별명은 본인이 입력한 변명이 확인되고, 주소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상단 등록과정이 어렵지 않으니 트래블룰 꼭 확인하셔서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