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EA DAO IDO 및 화이트리스트 참여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드리겠습니다.
클레이튼 기반 디파이 2.1로 알려져 있는 RHEA DAO가 IDO 진행과 화이트리스트를 모집합니다.
클레이튼 기반이라 국내에 인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IDO와 화이트리스트 조건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HEA 소개
레아는 RHEA토큰을 기반으로 한 클레이튼의 탈중아와 준비 통화 프로토콜입니다.
RHEA는 이전에 나온 크로노스와 네버랜드와 같은 옴포크입니다.
네버랜드가 최근 크게 수익을 줬던 것을 보고 RHEA DAO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RHEA의 개선점은 두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답니다.
첫번째는 금고 자산의 효율적인 활용이며, 두번째는 레아 토큰의 활용가치 증가입니다.
상기 두가지 목표는 레아의 생태계와 펀드금고로 달성할 수 있다고합니다.
레아의 펀드금고에 예치된 자산은 RHEA 생태계에 필요한 유동성 공급 목표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가장 중요한 사항은 RHEA 토큰이 $1 지지를 받도록 설계가 되어있다는 것입니다.
RHEA의 목표는 토큰이 DAO가 높은 수준에서 작동하고 정책에 의한 통제된 화폐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라고 합니다.
RHEA 참여방법은 스테이킹과 민팅 두가지 방법이라고 합니다.
레아 토큰을 스테이킹해서 스테이커는 더 많은 토큰을 받게 되며, 본더는 거래소에 유동성을 제공해서 일정기간 이후 레아 토큰을 저렴하게 구매 가능하답니다.
RHEA에서 수익을 받는 방법은 레아의 총 공급이 확장되면, 프로토콜 금고에서 레아토큰을 발생하고, 이중 대부분이 스테이커에게 돌아간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레아가 커질수록 자동복리적립을 통해 스테이커들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RHEA팀은 다국적 익명의 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며, 운영은 대부분 코어팀에서 맡고있답니다.
RHEA 생태계
RHEA 생태계는 RHEA 자체 생태계와 외부 파트너쉽과의 생태계로 구분됩니다.
RHEA 자체 생태계에 요구되는 유동성은 펀드금고 자산으로 공급됩니다.
상기와 같은 이유는 이용자들이 유동성을 만들고자 높은 채굴이자를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현재는 아고라와 메티스라는 생태계를 개발중이라고 합니다.
RHEA DAO FAQ
RHEA DAO는 페깅되지 않는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동일한 구매력을 유지합니다.
레아 DAO는 공급량 증가에 초점을 맞춰 시장이 변동해도 이와 상관없는 구매력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레아는 금본위제와 유사하며, 금고 중 일부가 레아의 가치를 끌어옴으로써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부동하는 가치를 제공합니다.
RHEA는 논페깅이며, 스테이블 토큰에 의해 $1가 지지됩니다.
혹시나 RHEA가 $1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다시 구매하여 소각한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레아의 가격을 지지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RHEA는 본드 및 펀드금고를 통해 프로토콜을 위한 수익을 창출하며, 금고는 창출된 이익을 통해 레아를 발행하여 스테이커들에게 나눈다고합니다.
올림푸스와 같은 디파이 2.0은 현재 아직도 초기단계 수준이라고 합니다.
레아토큰 가격의 변동성이 크게 발생하는 이유는 레아토큰은 공급 증가를 중심으로 조절되며, 이러한 부분은 스테이킹과 본딩 및 이자구조와 맞물려 변동성을 불러옵니다.
예를 들어 높은 이자율을 보고 이용자들이 RHEA토큰을 높은 가격에 매수하다가 시장이 하락세에 빠지게 되면 RHEA토큰 가격도 큰 하락을 맞이하는 것입니다.
레아 토큰을 시총이 낮을 떄 먼저 보유하게 되면, 그만큼 시총의 많은 비중을 점유하며 스테이킹 이자가 더욱 늘어나기 때문에 큰 수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항상 선동도 당할꺼면 먼저 당하는게 이득이라는게 이런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장기적으로 봤을 경우 가격이 중요하지 않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어떠한 것이든 가격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이지만, 상기에 적힌 내용은 복리 이자율을 설명하면서 가격이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설명합니다.
제일 좋은건 RHEA 가격도 매우 높게 유지되고, 복리 이자율도 높은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복리 이자율에 의한 수익은 상위 설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RHEA DAO 코어 멤버들은 KYC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CCGA를 통해 KYC인증을 진행했으며, CCGA는 디파이스타트업에 프로젝트 신용도 평가와 공정한 정보 제공을 중점으로 한 플랫폼이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RHEA의 신뢰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RHEA 펀드금고
RHEA 펀드금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아가 본딩에 의존하지 않게 만드는 핵심 구성요소가 바로 펀드금고입니다.
RHEA 펀드금고는 신규 스테이블 토큰 본딩이 생성된 경우 본딩 수익의 일부를 예치하며 수익을 늘립니다.
현재 본딩 수익의 10%를 펀드금고에 예치하고 있다고 합니다.
펀드금고의 자금은 다양한 방식으로 투자가 이뤄지며, 투자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 스테이커 이자를 위한 예비자금으로도 사용된다고 합니다.
레아 펀드금고 수익은 다시 일반금고로 입금된다고 합니다.
위 문장의 의미는 RHEA 펀드금고는 오로지 신규 스테이블 토큰 본딩이 발생하는 방식을 통해서만 가치를 불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레파 펀드금고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펀드금고의 토큰과 일반금고의 토큰이 완전한 격리가 되어 있으므로 RHEA 토큰의 가치 및 이자율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고합니다.
실제로도 나중에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점이 적용이 되는지 상당히 궁금합니다.
지금까지 RHEA DAO에 대해 깊게 알아봤으며, 하단부터 RHEA DAO IDO 및 화이트리스트 참여방법입니다.
RHEA IDO 및 화이트리스트
RHEA DAO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디스코드에 들어가봤습니다.
다들 많이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인증을 하기 위해서 노란색으로 표시한 체크버튼을 클릭하도록 합니다.
RHEA DAO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미 참여하고 계셨고 저도 동참했습니다.
RHEA 디스코드 가입 링크는 댓글에 첨부드리겠습니다.
RHEA DAO 화이트리스트 참여하는 방법은 총 4가지 방식이 있다고 합니다.
첫번째 방식은 SNS홍보를 통한 방법이며, 블로그와 트위터, 유튜브 등 RHEA DAO를 홍보하시면 됩니다.
결과는 2022년 2월 19일 ~ 2022년 2월 22일 발표된다고 하며, SNS 작성 후 구글폼에 입력하시면 됩니다.
총 45명을 추첨한다고 합니다.
두번째 방식은 RHEA DAO 트위터를 팔로우하고, 리트윗합니다.
RHEA DAO 디스코드 가입도 하고 medium 페이지를 팔로우하시면 됩니다.
네가지를 모두 완료하시면 구글폼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결과는 2월 19일 ~ 2월 22일 발표되며, 25명을 추첨합니다.
가장 참여하기 쉬운 방식이 두번째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디스코드 링크 등 관련 링크는 댓글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세번째 방식은 밈 콘테스트입니다.
RHEA DAO의 로고 또는 다른 이미지로 재미있는 밈과 비디오를 만들고, 트위터나 디스코드에 올리시면 됩니다.
트위터에서는 7명, 디스코드에서는 3명을 추첨한다고 합니다.
네번째 방식은 디스코드 초대입니다.
RHEA DAO 디스코드를 가장 많이 초대한 10명에 주어진다고 합니다.
저는 첫번째 방식인 SNS방식으로 참여하려고 합니다.
RHEA 일정
RHEA 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고 합니다.
2022년 2월 24일 오전 9시 화이트리스트 이벤트 결과가 발표됩니다.
2022년 2월 24일 오후 10시부터 2월 25일 오후 10시까지 화이트리스트 프리세일이 진행됩니다.
2022년 2월 26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IDO/퍼블릭 프리세일을 진행합니다.
2월 27일 런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RHEA 토큰 가격은 9KDAI로 여겨집니다.
지갑당 55.5RHEA까지 구매하실 수 있으며, 이는 대략 $500정도 된다고 합니다.
화이트리스트 베스팅 기간은 런치로부터 3일에 걸쳐 1일차 30%, 2일차 30%, 3일차 40% 진행됩니다.
지금까지 RHEA DAO 화이트리스트 참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RHEA DAO 관련 사이트는 댓글에 링크로 남겨드리겠습니다.
최근댓글